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미늄 합금의 후막 표면개질(Surface Modification with Thick Layer for Aluminum Alloy)

전문가 제언
□ 최근 자동차나 철도차량 등의 수송기기에 알루미늄화는 구조물의 경량화를 추진하는 데에 주요한 재료가 되고 있다. 알루미늄합금의 결점은 철강 재료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낮은 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경질 알루미늄 양극산화나 도금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 근래에 와서는 알루미늄 합금을 보다 엄격한 환경 하에서 구조용 재료로 적용하게 되고, 후막 표면 경화처리 기술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간단히 내마모성뿐만 아니라 내소부성, 윤활성, 내식성 등의 몇 가지 복합기능도 요구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도 알루미늄 합금 표면에 김환태 외 4명의 공동으로 플라즈마 아크 육성 경화에 의한 알루미늄 합금 피스톤 링 그로브의 성형 방법이란 제목으로 용융금속과 분말용융금속이 융합되어 합금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플라즈마 아크 육성경화 성형과정에 대한 특허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이 높다.

□ 후막 경화 처리방법을 분류하면 코팅법, 표면의 용융합금법 등이 있고, 그 내용에 각각 여러 가지 방법이 있어 그의 용도와 성능에 대하여 자세히 검토하여 응용하여야 할 것이다. 플라즈마 합금화 층에서는 HV 300 이상에서는 깨지기 쉬우나 처리 방법에 따라서는 HV 550까지 경도를 올려도 깨지거나 박리되지 않고 다양한 복합기능의 표면 처리를 할 수 있고, 내식성 및 윤활성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이에 대한 응용은 무한히 많다고 본다. 따라서 수송기기의 알루미늄화에는 이 분야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Kazuhiro Nak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76(6)
잡지명
주조공학(C05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99~505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