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자석을 사용한 언듈레이터 : 고휘도 방사광 발생장치(Permanent Magnet Undulators)
- 전문가 제언
-
□ 방사광 가속기는 자외선, X선을 망라하는 넓은 파장영역에서 필요한 파장의 빛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각종 실험에 이용할 수 있으며, 종전의 광원에 비해 백만배 이상의 밝은 빛이 나오기 때문에 생명과학, 환경과학, 의학연구는 물론 기초과학 및 응용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방사광 가속기는 지금까지 개발된 각종 첨단기술의 집합시설로서 과학 및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한 응용과 파급효과 때문에 과학기술에 관한 국력의 척도라 할 수 있다.
□ 일본 SPring-8 그룹의 H. Kitamura 등은 고휘도 방사광 가속기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언듈레이터에 사용되는 네오듐계 영구자석의 온도에 따른 방사선 감자(減磁)에 대응 방안으로 극저온형 영구자석의 채용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것의 개발에 따라 제 4세대 방사광 가속기의 시대가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는 1994년, 포항방사광가속기의 준공과 함께 세계 5대 방사광 가속기 보유국으로 과학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고 있다. 포항방사광가속기는 설립 초기에 2기의 빔라인으로 출발하여, 현재는 23기로 확충하면서 제 3세대 방사광 가속기의 기능을 확보하고 있다.
□ 과학기술부는 국가과학기술혁신을 위한 기반구축을 위해 오는 2009년, 포항방사광연구소에 방사광 가속기의 빔라인을 40기로 증설할 계획이다.
□ 향후, 포항방사광가속기가 증설되면, 우리나라는 제 4세대 방사광 가속기의 구축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방사광연구시설의 보유국의 위상을 확보함과 함께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제고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Hideo Kit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3(7)
- 잡지명
- Bulletin of the Japan institute of metals(N1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69~577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