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물의 고부가 가치화에의 도전(Challenge to High Value-added Castings)
- 전문가 제언
-
□ 최근 자동차 분야를 필두로 경량화 재료로써 마그네슘합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마그네슘합금은 내식성에 문제가 있었으나, 잉곳 정련기술의 향상에 의해 알루미늄합금과 거의 동등한 수준까지 개선되고 있어 구조재료로써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마그네슘합금의 용도로는 자동차부품, 오토바이부품, 전자기기 및 통신휴대기기부품, 산업기기부품, 레저-스포츠용품 등 범위가 매우 넓다. 그리고 가솔린 등 연료소비를 적게 하므로 에너지절약은 물론 CO2 배출을 줄일 수 있어 지구환경 보존에도 기여할 수 있다.
□ 구상흑연주철은 소음이 적으면서 효율은 높고 중량도 가벼우며 값이 저렴하여 앞으로 많이 적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당초의 비용절감 목적에서 연구와 사용경험 등이 축적이 진행됨에 따라 경량화 및 내마모, 내충격, 저소음 등의 많은 기능상의 이점이 발견되었고, 지금까지 남점이라고 생각되었던 절삭성의 문제 등이 해소되었으므로 앞으로 급속히 보급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 다이캐스팅 중에 발생하는 리턴재의 리사이클링 관련 기술개발이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스크랩 재료는 전량 외부의 재생업체에서 재생되어 재용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크랩 재료를 직접 리사이클링 할 수 있으면, 생산비용의 절감, 에너지 절약 및 환경조건의 개선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박판제품은 전 세계 철강생산량의 50%를 상회하는 가장 수요가 많은 제품이다. 페라이트형 압연기술은 심 가공성을 가진 극히 얇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며, 품질이 좋으면서도 가격이 싼 제품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더욱 증가 할 것이다. 이러한 경쟁 환경에서 상기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어떻게 선점하느냐가 중요하다.
- 저자
- Katsumi Suzu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5(6)
- 잡지명
- 소형재(E12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6~31
- 분석자
- 이*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