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불소계 표면 처리 (VII) : 복합 도금 기술

전문가 제언
□ 최근 크롬도금 피막에 SiC 및 BN의 미립자를 공석시켜, 금형 사용 시의 성형에서 일어나기 쉬운 달라붙는 현상을 해소시키고 있다. 현재로는 철강재료를 이용한 복합도금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SiC를 공석시킨 것도 시판되고 있다. 그리고 SiC 함유 Fe-P 복합 도금 피막은 융합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촉매작용이 있는 Al2O3 미립자를 함유한 복합도금 피막은 앞으로 발전할 수 있는 분야로서 손꼽히고 있다.

□ 금속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형광성을 계면에 유지 시키기란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리고 유기 형광 안료를 사용하여 형광성의 칼라 도금을 하는 것은 니켈의 광택과 형광 안료의 색깔이 서로 조화된 것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칼라 도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전기저항을 갖는 흑연 함유 복합도금 저항체와 내스파크성을 얻고 저금속 재료에 Ag를 사용하여 SiC, TiO2 등의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복합도금도 연구되고 있어, 앞으로 형광을 발생하는 복합 도금, 전기저항 복합도금, 내스파크성 복합도금, 피막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자
Soujun MATSU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8(7)
잡지명
방청관리(C114)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65~273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