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60 유도체 나노 위스커(C60 Derivative Nanowhisker)

전문가 제언
□ “풀러렌 유도체 나노위스커”는 일본 Kyoritsu Unversity of Pharmacy 약학부 Mashino교수와 독일 물질연구소 디바이스 구릅 Miyazawa 주간연구원에 의하여 기능재료 잡지에 발표한 내용이며, 이 분야에 오랫동안 연구에 직접 참여하면서 관심을 가져온 연구자로 알려져 있다.

□ 탄소나노튜브는 고온초전도체 (YBa2Cu3O7-x)와 같이 1980년대에 발견되고 나서 과학계에 큰 선풍을 일으킨 과학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그런데 탄소 나노 튜브는 소재로서 극히 제한된 부분에서 이용되고 있을 뿐 연구와 응용 면에서 기대한 것만큼 진정은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논문은 나노 튜브에 대체될만한 나노위스커를 발견한데서 탄소 동소체의 이용가능성을 선도하여주는 계기가 되지 않나하는 생각을 해본다. 구조가 다른 탄소의 동소체는 많이 발견되었으나 결정체의 형태가가 위스커인 것을 이용해서 탄소소재의 물성을 또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올 것으로 기대해 본다.

□ 탄소의 결합골격은 sp (선형), sp2 (평면), sp3 (입체)혼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견상으로나 이론적으로 보면 이 3 혼성골격이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가령 흑연 (sp2)이 다이아몬드 (sp3)로 전환되는 것은 온도, 압력, 촉매에 의하여 가능하며 현재공업용 다이아몬드를 흑연에서 만들고 있다. 그런데 이 논문에서는 반응과정에서 온도, 압력, 촉매에 관한 은급이 전혀 없다. 가역관계에 있는 반응에는 외부에서 조건을 주면 그 반응이 신속하게 일어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다양한 반응조건을 부여하면 이 분야에서 새로운 탄소재료소재가 탄생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
Tadahiko Mashino ; Kun-ichi Miyaz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24(8)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9~55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