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공기용 접착제(Aircraft Adhesives)

전문가 제언
□ 일본접착제공업회에 의하면, 일본의 접착제 생산량은 2000년 1,111,962톤에서 2003년 1,083,463톤으로 2.6% 감소했다. 종류별로는, 우레아수지계 37.3%, 용제형접착제 27.6%, 공업용씰링재 5.0%, 멜라민수지계 4.7%, 감압형접착제 4.4% 순으로 감소했으며, 페놀수지계 75.7%, 기타접탁제 18.8%, 핫멜트계 15.2%, 수성형접착제 10.1%의 순으로 증가했다.

□ 한국의 접착제공업은 실란트 외는 소규모 기업이 약 80% 생산하고 있어 제품의 일관성, 자본력, 기술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국내 산업 발달에 따라, 범용 접착제에서 고기능성 접착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6년에는 신기술 보유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한국내 접착제시장은 2007년까지는 연평균 5% 성장을 통해 약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항공기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경량화이다. 따라서 항공기용접착제는 고 하중에서도 장시간 사용가능하며, 고강도·고경도 피착재 접착, 피착재와 동일 응력전달, 장시간 접착강도 유지를 필요로 하며, 미연방규격 MMM A-132A 기준으로 분류된다. 접착제의 적용은 주로, 안전과 관련이 있는 부위의 접착, 내벽, 패널 등의 구조부위의 접착에 주로 이용되며, 금속면에 적용할 경우, 수분침투에 따른 금속표면부식과 이에 따른 박리현상에 유의해야 한다.

□ 2015년까지 세계 10대 항공우주산업국으로의 진입이 목표인 한국은 앞으로 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접착의 기본결합 형태연구, 접촉각·표면장력·표면자유에너지 등의 접착계면에서의 물리화학적 이론, 응력분포·점탄성·내부응력 등의 역학적 해석 등의 기초연구 및 접착방법 등의 현장연구 활성화를 통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2004년 9월 현재, 대부분 원천기술력 부족과 소재부품 수입에 의해, 작년 동기 대비 대일(對日)무역적자 32.8% 증가) 해소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저자
YANAGISAWA Shigekazu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73(4)
잡지명
용접학회지(A11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16~222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