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산업에서 용수와 배수의 최신동향(Utilization of Activated Water and Advanced Treatment of Water)

전문가 제언
□ 식품산업에서 배수(排水)처리는 지구환경에 대한 의식의 상승을 배경으로 그 규제는 매년 엄격해져, 여하히 환경대책에 부응하는가가 문제가 되고 있다.
식품산업에서 물 처리기술의 최신동향을 용수(기능수)와 배수(폐수)의 양면에서, 고도 정수의 진행과 각종 수질검사의 동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일본만 하드라도 국제기준인 ISO1400에 적합한 기준으로 대처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제 5차의 수질 총량규제로서 제안하는 폐수기준의 발표에 따라, 일본정부도 2004년 4월1일자로 규제기준치항목 및 그 수치를 개정고시 하였다.

□ 폐수의 수질(水質)오탁(汚濁)의 관리지표로서는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COD(화학적 산소요구량)과 TOC(유기체 탄소량), TOD(전산소요구량), 탁도, 그리고 제5차 총량규제로서 총량규제가 관련되는 전인(全燐)․전 질소(全窒素) 등이다.
제5차 수질총량규제에서는 종래의 COD만의 규제항목에 대하여 폐쇄성 해역에서의 부영양화개선을 위하여, 새로이 전 질소, 전인의 2개 항목이 측정대상으로 되었다.

□ 이상과 같은 지구환경의 차원에서 폐수처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비용의 부담이 제품원가에 미치는 것이 심각하여 정부와 기업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은 환경관련기술과 장치의 개선을 통하여 해결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 즉 소비자들의 환경의식의 고취와 각인이 환경오염과 보호의 책임자라는 인식확립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환경보호의 대책과 규제기준을 기업의 경영형편과 물가 문제를 고려한 장기적인고려에서 현실적으로 실기하지 않은 시기에 규제를 국제수준으로 설정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Editer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9(7)
잡지명
식품과 개발(M10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27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