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FPD 제조에 있어서 정전기의 이용과 대책 : 최첨단 FPD 연구 시설 건설에 있어서 정전기 대책 사례

전문가 제언
□ 가전제품·통신정보제품 등에서 초정밀성과 다기능성 그리고 비용절감만이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조회사들은 첨단신기술을 연구개발하기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FPD, LCD제조에서는 대형화 박막화 등의 기술에 미진동과 정전기가 생산보류 및 불량의 가장 큰 변동요인 되고 있으므로 이를 방지제거하기 위해서는, 연구프로세스·장치·시설의 계획·설계가 「Match System」화해야하며, 제조설비 구조물 전체를 「정밀 환경장치」로 건설해야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 정전기 발생을 제거하기위해서는 건축구조물의 Earthing화와 바닥, 벽, 천정 등 자재는 모두 대전방지 내장재를 사용해야하며, 대전방지성능뿐 아닌 out gas 발생방지성능이 있고 시공성도 좋은 재료를 선택해하며, 그 성능평가는 객관적 자료에 의하여 신빙성이 있어야한다. 부품회사들로 하여금 부품에 대한 성능시험평가서를 확실하게 받고 검토 확인해야 한다.

□ 도전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시공방법이 다르거나, 도전통로가 확실하게 확보되지 않으면 정전기에 대한 확실한 대책이 이뤄질 수가 없다. 또 배관지지대와 같은 사소한 것이라도 소홀함이 없이 사양과 시방에 충실해야하며, 건설현장에서의 분야별 공사 진척에 따라 공평하고 확실한 검사와 감리가 적시에 이루어지고 부적합한 것은 곧 시정되고 재검사가 이루어져야한다. 낮은 접지 저항치는 온습도에 의하여 변하므로 시공시점과 온도와의 관계도 고려하여야한다.

□ 앞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요구에 대응하기위해서는 전혀 다른 제조프로세스나 생산체계 그리고 운송 시스템 등이 예견되며, 여기에서 발생될 예견치 못할 새로운 정전기문제 등을 대처하기위해서는 한발 앞서는 연구와 개발만이 가능할 것이다.
저자
SHIMAMURA. k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14(7)
잡지명
Clean technology(N27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24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