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도수질검사의 신뢰성확보(Quality Assurance of Drinking Water Examination)

전문가 제언
□ 상수도의 보급률과 수질은 선진국일수록 엄격하게 규제되어 실시되고 있는바, 최근 수인성 전염병의 확대와 함께 먹는 물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 우리나라도 수도사업자는 자체 검사시설을 갖추거나 위탁검사를 실시하도록 법제화 되어 있고, 수돗물 수질평가위원회를 두어서 수돗물의 정기적 검사실시 및 수질관리 자문을 하고 있으며, 간이상수도나 중수도 도입 등 환경변화에 따라 법 개정을 계속하고 있다.

□ 최근엔 정수장 인원이 부족하고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 정수장 근무요원의 국가 자격제도도 도입 추진하는 등 정부의 계속된 노력 외에, 각 지자체 경우 수도행정 서비스 헌장을 만들거나, 수돗물 모니터링 제를 실시하고, 상수도 민원해결을 위해 주민가구 방문 서비스도 하고 있다.

□ 또, 수돗물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일부에서는 민관합동 수질검사를 매월 실시하여 시민에게 상수도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검사 결과를 인터넷에 공개하여 투명한 수도행정에 나서는 곳도 있다.

□ 본문과 같이 일본은 수질검사기준을 강화하고 신뢰성 확보를 위해 법개정을 한바, 지적대로 사용 시민에의 홍보가 매우 중요한데,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지나친 우리나라에서도 매우 참고할 만 하다고 본다.

□ 우리처럼 정수기와 생수 광고가 많은 나라를 찾기 쉽지 않은 현상에서 좀더 수돗물의 수질에 대한 확보와 함께 투명행정으로 시민에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그 해답이 될 것이다.
저자
Yasuo YANAGIB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6(7)
잡지명
Journal of water and waste(A0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61~568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