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정수질기준의 적용과 수요자설명책임 : Efforts to the Revised Water Quality Standards and Accountability to Consumers

전문가 제언
□ 수돗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상수원에서 미량이나마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약, 소독 부산물이 조사되었고 또한 하천수도 갈수록 수질악화 우려로 광역 상수도를 추진할 정도로 수질 확보에 진력하고 있다.

□ 이에 따라 일반적인 염소처리 외에 규모가 큰 정수장은 오존처리와 활성탄 처리까지 포함시킨 고도정수처리 방법으로 이에 대처해 나가고 있다.

□ 한편, 위에서 살펴본 내용과 같이 최근에 감염성 미생물인 크립토스포리듐의 낭포체(오시스트)는 염소소독에도 내성을 가지고 있어 문제화되고 있는데, 돼지를 비롯한 축산농가에서 발생하여 축산폐수가 원수에 유입되는 경로로 보여 지고 있으며, 이에는 오존처리가 효과적으로 최근엔 낭포체 만을 파괴하는 신 물질도 개발되고 있다.

□ 취소산은 브롬 산화물로서 취화물을 오존처리 시 OH래디컬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WHO에서 발암 가능성으로 억제 권고하고 있는바, 대안은 최적오존처리로서 취소산 생성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 동화성 유기탄소 역시 염소처리와 생성에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서, 현재 최고 기술로 알려진 고도정수처리 방식도 최적화 시키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 정부에서도 2004년 9월부터 먹는 물 수질기준에서 소독 부산물질 항목기준을 대형 정수장에서 모든 정수장에 확대 적용 강화키로 하여, 소독과잉에 의한 폐해를 막도록 하고 있다.

□ 정수기술은 단일공정으로는 처리가 어렵고 복합시스템을 최적화 시키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수질관리 모델개발에 따라 효과적인 수질관리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므로, 법제도적인 뒷받침과 함께 정수장 자체의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저자
Takashi SASA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6(7)
잡지명
Journal of water and waste(A0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98~60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