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검사 계획 책정의 자세(Policy and design of water quality examination plan for water supply system)
- 전문가 제언
-
□ 수돗물의 안전성이나 생활 용수 기능성을 보증 하는 판단 요건인 수질 기준의 적합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수질 검사는 불가결한 것이다. 지역성, 효율성을 갖춘 합리적이고 자주적인 수질검사 계획의 책정과 실시, 신뢰성이 보증된 검사 결과의 공표 및 수요자와 양쪽의 정보를 교환 하는 등, 새로운 시도는 수도 사업자의 신뢰성을 지금보다 더욱 향상 시키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 수도수의 안전성이 확보 되어 있음을 수요자로 하여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원에서 급수전까지의 여러 과정에서 적절한 수질 측정을 실시하고 안전성이 확보 되어있는 것을 확인, 보증, 공표하는 체제의 정비가 필요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수질검사 계획의 책정 뿐 아니라 수원으로부터 급수전까지 총합적인 수질관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 우리나라 수도수의 안전성에 대하여 국민이 신뢰하고 있는 부분은 수원에서 합리적인 처리에 의한 수질검사가 실시되고 있는 점이며,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은 공급 과정의 수도관 노후화로 인한 착색 및 오염을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아파트나 집합 주택인 경우 자체 저수조를 거치게 되어 있어 저수조의 관리가 철저하지 못한데 원인이 있다. 저수조의 정비 관리는 저수조 이용자가 자체적으로 하고 있어 실수요자가 이용하는 급수전에서 검사는 전혀 되고 있지 않는 실정 이므로 수돗물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있어 수돗물을 그대로 먹는 인구는 소수이다. 대부분 정수기나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것 역시 관리가 소흘히 하면 세균 발생 등 수질에 문제가 생긴다. 국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수원에서 급수전까지 과정 및 최종 수요자 에게 공급 되는 시점에서 적절한 수질 검사가 있어야 한다.
- 저자
- Takako AIZ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7)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45~550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