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시의 수도수질기준 개정에 대한 대응(The correspondence of Osaka City to the new standards of drinking water quality)
- 전문가 제언
-
□ 최근 일본의 수돗물 수질기준의 개정은 수질기준으로 13개 항목을 추가하였고, 수질관리 목표설정 항목에 농약류를 중심으로 101종류가 제시되었다. 수질관리 목표설정 항목은 수원을 이루는 수계의 특성에 따라 내용을 다르게 하겠으나, 차후 수질기준에 포함될 가능성이 짙다고 보아진다.
□ 수도수질 관리계획은 「수원 수질관리」, 「정수장 수질관리」 및 「배수관, 망 수질관리」 등 3가지로 이루어지며 사용목적에 따라 검사항목과 검사주기가 상이하다. 이번 오사카시의 「수도, 수질관리계획」은 전술한 3종류의 수질관리계획을 조정하고, 공동으로 대처하는 광역 수도, 수질관리계획의 패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우리도 이러한 「수질관리계획」을 참고하여, 향후 안전하고 양질의 수돗물 생산과 수원확보에 노력하여야 한다고 보아지고, 농업 형태가 일본과 유사하므로 특히 「수질관리 목표설정 항목」에 유의하여 선진국 형태의 상수도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저자
- Sadamitsu SHIODE ; Hironobu HAYASHI ; Hiroshi KOZAS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7)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36~540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