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쇄기 긍정론의 7가지 문제점 (Seven problems on affirmative views for disposer)
- 전문가 제언
-
□ 하수도 사업은 공공성이 높은 사업이므로 시설 기능에 장애가 발생 하게 되면 도시 활동 및 수권 환경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관리 운영을 하고자 하수도법과 조례를 만들어 하수도 시설의 기능이 잘 발휘 될 수 있도록 적용하고 있다. 현재 파쇄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으나 하수도법의 적용은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어 지방 자치체에서도 자숙을 요청하고 있을 뿐이다. 이는 파쇄기 보급업자의 자숙 없이는 현행법 제도 하에서는 파쇄기 확산을 억제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 파쇄기의 국내보급은 1996년도에 국산화 되어 소수의 가정에 보급된바 있었으나 한국 가정에서 발생하는 생 쓰레기 량이 일본에 비하여 많기 때문에 생 쓰레기 발생량에 비교하여 처리용량이 적어 실용성이 없었으며, 또한 주방 싱크대 밑에 설치하는 관계로 설치 공간도 협소하여 적은 용량의 것으로는 1일 발생량을 처리할 수 없어 부적합 하였다. 보급 초기에는 쓰레기 감량화 및 직접 처리라는 이점을 앞세워 홍보 판매 하였으나 파쇄에 의한 배수의 막대한 BOD, SS의 증가는 배수관 유입시 고농도 유기물 배수의 2차 처리 문제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어 더 이상 보급은 되지 않았다
□ 일본은 파쇄기 이외에 배수 처리조가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절한 유지관리가 되는 범위에서 하수에 접속하는 배수설비로서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시스템에 대해 건축기준법 소관 장관 인정을 받아 보급하도록 되어있다. 이의 판단은 매우 미묘한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유지 관리 과정에서 적절한 처리가 되지 않았을 때 배수 설비에 발생되는 유기물 과부하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이 없다. 기술적인 면에서 소규모 배수 처리조의 생물학적인 처리는 고농도 파쇄 배출수를 적정 기준으로까지 처리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다. 우리나라 음식 문화에서는 부적절한 시스템임을 강조하고 싶다.
- 저자
- Kikuo INAB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6)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47~451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