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쓰레기의 배수처리 시스템(The subjects in the performance test of disposer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 전문가 제언
-
□ 집합주택이나 독립가옥 및 영업장소의 주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찌꺼기나 주방배수가, 우리의 식수원이나 국토의 토양오염에 심각한 문제로 되어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구미 선진국은 국토면적이 넓은데도 이러한 환경문제를 제도적이고 기술적인 개발로서 극복하고, 산이나, 호수나, 강이나, 어디든 가도 청정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쉽게 볼 수가 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일본 역시 일반패기물의 연간 배출량 약5,000만톤 중, 가정쓰레기의 상당부분이 이 주방쓰레기 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디스포저(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로 처리해서, 그 처리수를 하수도로 흘려보내기 위한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Kwan Sai환경관리기술센터가 “주방 쓰레기 배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실증과 평가시험을 한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 시험방법으로서는, 일단 적정 표준 시험용수를 BOD300mg/L, SS300mg/L, Normal Hexan배출물질 30mg/L 이하로 만들어서, 항온 단기 평가, 통상 부하평가 및 현장평가로 나누어서, 시험수온이나 시험기간 등으로 구별하여 시험하였으나, 결론적으로 배수의 원천과 양에 따라서 획일적인 표준을 정하기가 어려우나, 배수처리 시스템의 운용상 중요한 역할을 갖는 유지관리계획, 특히 오니관리의 평가방법과 배수처리의 적합평가를 위한 문제 등을 제시해 놓고 있다. 그러나 확정적인 “성능기준안”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와 검토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본보다 더욱 어려운 실정이라고 보며, 일본의 전문연구기관이 수행한 영구내용이, 우리의 관계에도 좋은 참고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저자
- Junko MURASHITA ; Sanae KIMURA ; Takao TAKEMI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6)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57~461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