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기성 생물처리의 특징(Characteristics of anaerobic biological treatment)
- 전문가 제언
-
□ 주정폐수, 식품폐수, 축산폐수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혐기성 처리공정은 고농도 유기성폐수를 처리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기술로서 폭기가 불요하고 오니 발생량이 적으며 탈수성이 양호하고 동시에 메탄으로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호기성처리와 비교하여 반응속도가 느리고(장치 대형화 필요) 가온장치가 필요하여 처리시설비와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 비교적 최근에 개발 보급되고 있는 침강성이 우수한 자기 조립형(自己造粒型, 직경 2~3mm의 미소한 입상균체를 형성) 혐기성 미생물을 사용하는 고 부하 혐기성폐수 처리방법인 UASB(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과 그 변형인 EGSB(Expanded Granular Sludge Bed)법은 종래의 혐기성처리방식의 단점인 장시간의 처리와 저온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결점을 개선하였다. 근래에 맥주와 음료수 산업, 증류 및 발효산업, 식품산업 및 펄프와 제지 산업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화학, 석유화학, 섬유 폐수, 매립지 침출수의 처리 등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혐기성 폐수처리방법의 주류로 등장하여 많이 보급되고 있는 UASB 폐수 처리방법을 중심으로 혐기성 처리의 특징과 이 방법의 장점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에너지절약, 공간절약 및 자원절약 효과가 있으며 또한 혐기처리방법이 호기처리에 비해 온실효과가스 발생량이 약 20%에 불과할 정도로 저감된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UASB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방식을 이용한 처리공장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우수성이 인정된 이 공법이라도 화학폐수나 석유화학폐수와 같이 저해물질이 한계 이상으로 포함된 폐수에는 신중한 검토와 장기간의 적응시험 등이 요구되어 적용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예상효과를 고려하여 적극적인 연구 검토가 요망된다.
- 저자
- Akihiko HOGE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6)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12~416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