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태네트워크계획을 위한 GAP분석(Gap Analysis for Ecological Network Planning)

전문가 제언
□ 산업발전에 따른 도시화의 확대로 환경이 훼손되면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도록, 도시화가 생태계 및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안과 환경복원을 포함하여 대책을 강구하려는 움직임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다.

□ 이미 생태마을은 국제적 네트워크를 구성(GEN)하여 정보교환 및 제공하고 있고, 독일의 자연성 회복운동, 스위스의 근 자연하천공법, 네덜란드의 생태네트워크 형성, 영국, 프랑스 등 유럽 각국이 추진 중이며, 미국의 자연환경복원사업, 일본의 에코로드와 자연하천공법 등 관련기술개발도 활발한 상태이다.

□ 생태도시 형성을 위한 생태네트워크는 핵심지역, 완충지역, 복도지역으로 구분하여, 이미 우리나라도 서울시, 양수리 등 일부지역에서 조사 연구된바 있으나, 대부분 소 생태계 차원으로서, 전국적인 관점에서는 방향제시가 부족하고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모형구축이 과제가 되어 왔다.

□ 다행히도 최근 국도주변의 생태이동통로 등을 확보하여 생태계 유지를 위한 조치가 진행되는 가운데, 정부는 국토생태 네트워크 지도를 작성해서 전국적 생태통로 정비계획 수립에 이용하고, 국토 및 도시계획에도 제도적으로 반영계획이다.

□ 2005년까지 생태자연도, 바이오 톱(생물서식처) 현황도를 제작하고, 2008년까지 생태계 훼손 등급도가 작성되어 2011년엔 생태네트워크의 종합적인 관리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될 계획으로, 실현된다면 국토의 모습이 크게 일신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문의 일본 사례는 한 지방을 중심으로 한 생태분석 사례를 보이고 있는바, 전국적 계획과 함께 각 지방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지역상세분석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
Yasuo IIZUKA ; Midori SAEKI ; Nobuo FUJIW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6(7)
잡지명
토목기술자료(N01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8~43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