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야생동물연구기술(MTS와GIS의제휴) :New Wildlife Research Method : Capability of Cooperation MTS and GIS, Future Prospects
- 전문가 제언
-
□ 사방이나 제방 등 하천정비사업이 태풍이나 홍수 대비하여 계속되고 있는데, 비례해서 야생동물도 해마다 수가 감소하고 있어 생태계 먹이사슬의 상실이나 생물 종의 멸절 등이 우려되고 있다.
□ 야생동물을 보호하려면 서식 환경이 매우 중요해서, 먹이, 기후, 물, 은신처, 질병, 재해, 공간요소 등 서식을 위한 행동패턴 연구가 필요하나, 이에 대한 데이터 축적이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 우리나라도 야생동물 개체군의 밀도조사를 위해 포획 및 재 포획 법으로 표본 검사하는 경우가 있어 왔고, 지리산 반달곰 등은 야생 적응훈련 후 방사하면서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행동반경을 파악 보호 관찰하는 사례도 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에서는 이러한 위치 추적을 현재의 단선적 점적인 추적에서 삼각측량기법으로 입체적인 추적을 하고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점이 돋보이고 있어 우리 생태계 연구자들에게도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본다.
□ 여기에 GIS기술까지 활용함으로서 야생동물의 행동패턴과 활동공간을 함께 파악할 수 있어 향후 개발공사계획 수립 시 야생동물 보호를 감안한 환경 배려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어 주목된다.
□ 우리나라 환경청도 최근 수달의 서식환경 생태조사를 위해 2006년까지 낙동강유역 조사예정인바, 야생수달을 포획하여 피부 밑에 발신 장치 삽입 후 방사해서 추적 장치로 서식지역, 이동경로나 식이물 조사를 국내 최초로 실시예정이어서 결과에 기대된다.
□ GIS기술 포함하여 수준 높은 IT기술을 갖추고 있으므로 우리도 충분한 예산 뒷받침으로 생태학회나 관련연구단체를 지원함으로서 추적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야생동물의 전국 지도화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저자
- Masatoshi DENDA ; Kunihiko AM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6(7)
- 잡지명
- 토목기술자료(N01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4~49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