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와 유역수물질 순환모델을 활용한 물 정책검토(Application of a Hydrological and Material Cycle Simulation Model to Examination of Water Environment Policies)
- 전문가 제언
-
□ 지역개발과 도시화에 의한 반대급부로 환경파괴가 계속되면서 부작용이 속출함에 따라 개발과 환경을 공존시키는 지속가능한 사회 건설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따라서 환경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 물과 생태계 순환의 기구를 밝히고 적용 가능한 대책을 실시하였을 때 소요비용과 효과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은 매우 절실하다.
□ 이러한 모델은 산지의 수 순환모델, 도심지 유역의 수 순환모델, 강 및 호소유역의 수 순환모델 등이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도심지 유역의 수 순환모델을 이용하여 청계천 복원공사 계획에 반영하고 있어서 향후 환경친화적인 도시개발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대유역이나 중소 하천 대상으로 개발된 많은 수문 모형에 의해 안양천 유역의 수 순환 해석이나 금강유역 물 관리해석 외에 주요호소의 녹조제어에 의한 수질개선 등에 활용하고 있다.
□ 이러한 모델선정 시에는 사용목적의 적합성이나 구조의 단순성, 사용의 용이성, 입력 자료의 최소화 등을 검토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는데, 최근에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발달로 물 순환모델에 적용시킴으로서, 보다 광범위하게 데이터에 의한 다양한 성과 도출이 가능해지고 있다.
□ 지금까지 살펴본 일본 사례는 최적화한 GIS에 근거하여, 모델 인터페이스와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서, 호소 수계에 적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유역모델과 수질모델 및 GIS 소프트웨어를 통합하여 새 모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GIS에 관하여 우리나라도 독자기술 개발로 유수한 실적을 얻고 있어서, 이러한 뛰어난 GIS기술과 유역 및 수질모델을 병합시킨다면 이를 활용하여 주요하천과 호소를 포함한 수질환경개선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저자
- Koichi FUJITA ; Hiroyuki ITO ; Tsuyoshi ORO ; Tomoyuki AN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6(7)
- 잡지명
- 토목기술자료(N01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0~25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