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흡연대책(Countermeaure for Reduction of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 전문가 제언
-
□ 암의 부위별 사망률을 보면, 남여 공히 폐암은 분명히 증가하는 경향이 보이고, 그 가장 큰 이유로서, 흡연이 단독으로 암의 원인의 약 30%를 점하고, 폐암사망자의 약 70%는 흡연이 원인으로 말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많은 역학연구에서 여러 가지 간접흡연의 건강영향이 더욱더 확실히 되고 있어, 미국환경보호청(U.S.EPA)이나 국제암연구기관(IARC)은 환경담배연기를 인간에 대한 분명한 발암물질로 하고 각각 그룹A, 그룹1로 분류하고 있다.
□ 담배연기는 주류연과 부류연으로 구성되는데, 주류연은 흡연자가 들어마신 후 내뿜는 연기이고, 부류연은 타고 있는 담배 끝에서 나오는 생담배 연기를 말한다. 간접흡연은 부류연이 85%, 주류연이 15%를 차지한다. 부류연의 독성 화합물질의 농도는 주류연 보다 높고 담배연기 입자가 더 작아서 폐의 더 깊은 부분에 침착될 수 있고, 또한 입자 외에도 발암성이 있는 벤젠 등의 가스상 성분도 포함한다.
□ 일본에서는 2004년 5윌 1일부터 시행된 건강증진법(2003년 법률제103호)에 의해 간접흡연방지대책이 은 노력 의무화되고, 후생노동성은 후생노동성 건강국장명의로 “간접흡연방지대책에 관하여”(건발제040003호, 2004년4월30일)로 간접흡연방재대책에 관하여, 가이드라인을 통지하고, 분연대책을 세우고, 분연효과의 판정기준을 마련하고, 실내공기환경대책의 원칙과 평가의 지표도 마련하여 간접흡연의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증진법이 있어서, 국민에게 담배의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교육 홍보하고, 금연을 위한 조치로서, 담배의 자동판매관리, 공중이 이용하는 시설의 금연구역 지정, 흡연구역에 환기시설 및 칸막이 설치 등의 시설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간접흡연 방지에 관한 구체적인 대책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간접흡연을 예방하여 상기와 같은 폐암발병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저자
- Iwao Uchi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78(7)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57~561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