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DO 기술개발기구의 BEMS 도입 지원 사업 개요
- 전문가 제언
-
□ 소선진국으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에너지소비구조 역시 선진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원가절감을 위한 산업현장의 자율적인 에너지절약 노력과 함께 에너지 다소비산업의 해외 이전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에너지 저소비산업으로 이행하면서 산업부문의 에너지소비 증가율은 가정, 상업 등 민생부문의 에너지소비 증가율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 반면에 가정부문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각종 전기사용기기가 늘어나고 냉난방수요가 증대하면서 에너지소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상업부문 역시 대형 판매시설, 호텔, 오피스 등을 비롯한 서비스시설이 늘어나면서 에너지소비량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 민생부문의 중심이 되는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건물에너지 관련법의 강화, 에너지절약적인 건축설계와 그에 합당한 시공, 에너지절약형 설비 및 기기의 도입, 건물의 에너지절약적인 운용, 건물 사용자의 에너지절약 의지 등이 필요하다.
□ 효율적인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BEMS는 건물에서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도록 에너지사용과 관련된 냉난방설비, 조명설비,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등 전기설비, 방재설비, 보안설비 등을 중앙제어센터에서 감지, 계측하여 최적 상태로 운전관리하는 시스템이다.
□ BEMS는 우리나라에서도 약 10여년전에 연구된바 있으나 건물에너지절약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투자가 희석되면서 답보 또는 사장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정, 상업부문의 에너지소비 상승세가 뚜렷한 지금 건물에너지절약에 대한 노력과 투자를 기대한다.
- 저자
- ARAI Kan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7)
- 잡지명
- 산업과 환경(L29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5~110
- 분석자
- 유*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