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에 있어서 노면의 평탄성 평가 기술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도 전국에 고속도로망이 잘 정비되어 있어서 물류 원활화에 의한 국가 발전에 기인하는바 컸지만, 이제는 여행이나 관광 등으로 국민생활에 기여하고 있어서 생활의 일부가 되고 있다.
□ 도로는 어느 나라나 도로 포장 면의 균열이나 평탄도 등 많은 문제로 고민하고 있어서,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지금은 사용자인 고객의 편의나 만족감을 제고하기 위한 관리에까지 이르고 있다.
□ 도로의 평탄성은 승차감이나 안전성 및 포장 파손에 직접 영향을 주고 있는데, 종단 평탄도는 차량 진행방향의 노면 요철로서 정량화하여 관리하고 있다.
□ 현재, 평탄도의 조사장비는 각 나라별로 고유하게 개발 사용하되, 국제적으로 통일된 평탄도 계산방법을 정립하여 이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추세이다.
□ 우리나라도 초기엔 7.6m의 CP 장비에 의한 PrI를 사용했으나, 1994년부터는 자동식 평탄성 장비인 APL 분석기로서 IRI 값을 도출하여 관리하고 있다.
□ 위에서 살펴본 일본 도로 공단은 IRI와 도로구조관계를 밝혀주고 있어서 참고가 될 만하며, 향후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아스팔트 재사용이나 콘크리트 등 다른 도로 재질 사용 시에도 IRI와의 상관관계를 장기간 규명해서 도로관리에 더욱 과학적 접근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 저자
- Kazuhiko Kumada ; Masakazu Sato ; Keizo Kami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59(7)
- 잡지명
- Civil engineering(A10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0~46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