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광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향(Photovoltaic Power Generation/Chemical Analysis : (Review) Progress of Solar Concentrated Electric Power Generation)
- 전문가 제언
-
□ 화석 연료의 집중적인 사용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화석 연료의 점진적인 고갈에 대한 우려감과 이로 인해 최근에 나타나는 원유의 천정 없는 고가행진이 주는 세계 경제의 불안감에 대한 대책 및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화석 연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나 메탄가스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써 오래전부터 대체 에너지의 개발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체 에너지로써 가장 각광받을 수 있는 자연 자원이 태양 에너지라 할 수 있다.
□ 총 에너지수요 중 원자력에 대한 의존율이 40%를 넘고 있는 우리나라로써도 앞으로 조력 발전이나 풍력 발전과 함께 태양 에너지자원이 적어도 주거 수요의 상당 부분과 송・배전상의 인프라가 극히 취약한 도서 지역이나 산간 지역에서는 대체 에너지가 100% 활용되도록 국가적인 정책 대안으로 추진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평판식 태양광발전에만 의존하지 말고 용량이 큰 집광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도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며 태양 에너지의 이용 효율면에서 지리적・기후적인 특성은 일본과 비교해도 우리나라가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을 살려야 한다.
□ 이 정보자료는 일본에서의 태양열을 이용한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지금까지의 진행 과정과 PV 시스템이 갖고 있는 기술적인 경제적인 어려움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숙명처럼 된 태양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에 있어서 일본에서의 문제를 잘 파악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를 타개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Akio Kit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75(3)
- 잡지명
- 전기제강(F1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87~195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