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인식 기술을 사용한 비디오 콘텐츠의 검색(Using Visual Recognition Technologies to Search Video Contents)
- 전문가 제언
-
□ 대용량 기억장치의 보급으로 새로운 문제가 되고 있는 대용량 콘텐츠의 격납은 고객에게 매력과 동시에 검색 및 시청과 필요한 시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 해답으로 전자 방송표(EPG), 방송 상세 메타데이터(metalanguage data)의 제공을 들 수 있다. 실제 디지털 AV기기 메이커에는 대용량 콘텐츠 중에서 고객이 요구하는 콘텐츠를 기기 자체가 스스로 검색 재구성하고 제시하는 기능과 영상 네비게이션 기술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 영상 네비게이션의 실현은 대용량 영상 콘텐츠에서 고객이 보고 싶은 영상기호를 추출하는 작업을 자동화하면, 고객은 그 중에서 보고 싶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 광대한 인터넷 중에서 원하는 사이트를 발견했을 때, Google과 같은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일본의 NEC, NHK 방송기술연구소 등은 화상 인식 기술로 1초 이내에 특정 화상을 찾아내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일본의 KDDI 연구소는 대용량 영상을 짧게 요약하여 보기 위한 기술을 발표하는 등 기술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고,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데 특수한 LSI는 필요치 않는다. Sony Corporation은 마이크로프로세서 ‘Cell’를 활용하여 영상 중의 화상 인식을 검색하고, 화상 검색 기능 및 영상 요약 기술은 특수한 영상 처리 가속기, 수GHz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퍼스널컴퓨터상에서 동작한다.
□ 영화, 드라마에서 등장인물의 대사 대부분을 그대로 메타데이터로 허가 없이 유통시켰을 경우는 저작권 침해에 해당된다. 이런 데이터를 웹 사이트 등에서 넓게 배포되고 있는 경우에 법적으로 배부를 금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상 디지털 방송이 수신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의 컨셉트 모델(concept model)로 휴대전화기에서 메타데이터를 활용하고 녹화방송을 시청하는 이용법을 제시하고 있다.
- 저자
- SHINDO ; ASA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876)
- 잡지명
- Nikkei electronics(F2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05~129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