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무선 기술 UWB의 표준화로부터 실용화로(UWB Moves from Standardization to Commercialization)
- 전문가 제언
-
□ PC를 비롯하여 휴대기기와 휴대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지속적인 수요 창출에 따라, 전자파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현재 이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는 무선 LAN을 비롯하여, Home RF, IEEE 1394, 블루투스 및 UWB가 있으며, 이 가운데 UWB는 광대역으로 신호가 분포되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적합하며, 광대역으로 분포된 에너지를 수신하여 검출하므로 협대역 통신 신호에 대한 내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다른 근거리 통신 규격에 비하여 매우 높은 공간 효율을 제공한다.
□ 세계 각국은 각 국가별 사정에 따라 인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를 제한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는 902~982MHz, 2.4~2.4835GHz, 5.725~5.85GHz의 주파수대를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용으로 분류하여, 이 주파수대는 누구나 인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27MHz대역, 46/49MHz대역, 400MHz대역, 900MHz대역, 2.4GHz대역, 5.7GHz대역을 ISM대역으로 사용하여, 이 대역의 주파수는 등록을 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 UWB의 인허가에 있어서 UWB 시스템의 방사 출력 레벨과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이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는 이격 거리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여, UWB의 방사 출력이 전파 환경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적절한 주파수대를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UWB는 다른 규격에서 제공할 수 없는 480Mbps라는 초고속 전송을 제공할 수 있어 유리하고, 다른 분야로의 응용 범위도 넓다. 따라서 관련되는 산업의 파급 효과도 크다. 그러나 가격, 크기 및 소비 전력에 있어서 핸디캡이 있으며, 국가의 전파 정책과 외국의 사례도 참조하여 다른 규격과의 장단점을 통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 저자
- Takahiro KIKUCHI; Tetsuo NOZ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876)
- 잡지명
- Nikkei electronics(F2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1~78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