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크젯 기록지 (Inkjet Recording Paper)
- 전문가 제언
-
□ 잉크젯 인쇄는 기재(基材 : substrates)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인쇄기술이지만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기 위해서는 잉크의 흡수성 및 균일성, 고발색성, 내수성, 내광성, 내가스성 등에 대해서 최적화된 잉크젯 전용지(專用紙)를 사용해야 한다.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용지는 보통용지(plain paper), 매트지, 캐스트지, 레진 코팅지 등이 각각 목적에 따라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프린터의 기술이 진보됨에 따라 상업적 인쇄에의 응용개발이 진전되면서 신규 전용지의 개발이 요구된다.
○ 향후, 잉크젯 인쇄가 주문형(on-demand) 인쇄의 주종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용지와는 달리 양면 코팅된 전용지가 요구되며, 또한 색소 및 바인더도 저렴한 원료로 대체되어야 하며 인쇄물의 품질향상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의 제지산업은 정부의 육성시책에 힘입어 1970년 이후 큰 성장을 이루었지만 생산규모에 비해서 에너지 및 용수 사용량이 많은 산업으로서 다량의 대기오염 물질 및 폐수를 배출하는 대표적인 용수 다소비 및 환경오염 심화 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 제지산업이 청정산업으로 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기오염 물질의 처리와 폐수의 재활용 등 환경친화적 기술개발이 시급하며, 또한 부가가치가 높은 특수 용지의 개발이 요구된다.
□ 현재, 잉크젯 전용지 생산에 있어서 코팅 바이더로 고가의 합성 고분자 물질인 폴리비닐 알코올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을 저렴한 천연 고분자 물질인 양이온성 전분 등으로 대체하는 기술의 개발에 의한 코스트 저감 및 다양한 첨가제 활용기술에 의한 잉크젯 인쇄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개술의 개발 등이 잉크젯 인쇄의 다양한 용도 개발의 관건으로 판단된다.
- 저자
- Naomasa KOIKE ; Makoto K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3(4)
- 잡지명
- The journal of imaging society of Japan(C2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6~251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