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무기계 나노복합체(Nanocomposites : (11)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s)
- 전문가 제언
-
□ 유기재료와 무기재료가 단독으로 갖는 재료로써의 많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들의 장점만 취할 수 있다면 분명히 신소재로써 활용분야가 더욱 넓어 질 것은 자명할 것으로 지금까지는 많은 고분자재료에 의한 미크론 크기의 복합화(유리강화수지나 탄소섬유강화수지 등)가 항공소재를 비롯한 첨단재료분야에 사용되어 왔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재료는 성형성이나 가공성에서는 또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인 면에서도 일반 범용제품에는 특성상의 장점이 있어도 비싸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신소재개발은 어느 특정분야를 가리지 않고 매우 폭넓게 응용되고 있는데 과거의 균일한 혼련방법에 의한 고분자콤포지트제조기술을 한 단계 올린 나노복합체 제조기술은 첨단소재가 요청되는 분야에서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혁명을 이루리라고 자신하고 있다.
□ 유기polymer와 silica gel간의 수소결합이나 전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거나 상용화제나 In-Situ방법을 이용한 polymer hybrid제조외에도 IPN구조를 갖는 hybrid나 환경응답성을 갖는 polymer hybrid 등의 많은 종류의 제조방법이 개발되고 이에 나노기술이 적용된다면 유기재료나 무기재료 단독으로는 도저히 가질 수 없는 전혀 새로운 특성을 갖는 차세대용 신소재가 출현할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을 것이다.
□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유기-무기 나노복합체의 최근 연구개발동향과 이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몇 가지 나노기술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의 연구진에게도 상당한 힌트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 저자
- Tomoki OGOSHI ; Yoshiki CHUJ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7)
- 잡지명
- 일본접착학회지(J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14~322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