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IA의 접착제 생산량 자료에 따르면, 수성형 접착제는 2000년 대비 2003년 10.1% 증가했으며, 소재별로는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계 56.0%, 기타 수지계 에멀전형 43.7%, 아크릴수지계 에멀전형 39.5%, EVA수지계 에멀전형 34.7%, 순으로 증가했으며, 감소는 초산비닐 공중합수지계 에멀전형 32.8%, 합성고무계 라텍스형 16.4%, 초산비닐수지계 에멀전형 13.6% 순이었다.
□ 특히,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계는 1996년 특인 폐지와 함께, 1998년 「구조용 집성재의 일본농림규격(JAS)」에 정의되어 있는 「중단면(中斷面) 집성재의 사용환경 2」로의 사용가능 범위 확대로, 1999년 이후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현재는 새집증후군 등 환경문제 관심고조와 함께, 비(非)포름알데히드계의 중요한 접착제로서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 일본 Koyo Sangyo의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계 목재 접착제는 1971년 개발 후, 꾸준한 연구개발로 내수성 접착제 등의 많은 특허를 취득, 일본 국내외에, 널리 상품화되고 있는 고성능 접착제이다. 동접착제는 고도의 내수성, 내열성 등이 인정되어 1992년 3월에는 레조르시놀계 접착제 이외의 구조용 집성재용 접착제로서 유일하게 정식 인가되었다. 또한, 포름알데히드, VOC 등을 포함하지 않는 등, 고성능 환경친화적 접착제로 인정되어 1994년도 CSJ(Chemical Society of Japen, 일본화학회) 화학기술상을 수상했으며, 그 이후 꾸준히 기술개발을 추진해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아, 목재나 종이 가공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성접착제는 향후, 가공방법 및 재질 다변화에 따른 원가절감, 가교제의 배합 후의 점도 변화 억제, 내수성능 향상 등의 연구와 함께, 배합조성의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변성이 가능한 특징 등을 살려, 고객으로부터의 새로운 요구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기술개량을 추진하여, 다양한 수요에 부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