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스틱 금형용 강의 종류와 그 특성

전문가 제언
□ 금형용강 재료를 선택하는 데에는 재료의 특성만을 추구하는 게 아니라 금형의 기계가공성과 플라스틱 수지의 성형가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 토하여 기술적, 경제적면에서 균형 있는 배려가 필요하다.

□ 금형 정밀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하고 다량생산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금형용강 재료의 내마모성, 내부식성에 더하여 금형의 파손방지를 위한 인성과 그리고 거스러미나 이물질이 분할면에 끼었을 경우에는 면이 움푹 패어 들어가는데 이에 대한 저항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절삭가공성, 연삭가공성, 열처리성, 표면처리성 등을 고려한 금형강 재료의 선택이 중요하다.

○ 정밀금형을 제작하는데 불가결의 요소이다. 복잡한 형상 의 캐비티와 코어를 여러 부분으로 분할하여 높은 정밀도로 가공한 다음 끼워 맞춤 등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 차세대 광디스크 금형에 요구되는 캐비티면의 거칠기 0.01㎛(Rmax) 이하, 평면도 0.1㎛ 이하인 초경면(超鏡面)으로 다듬질하는 데에는 전용 연마기도 필요하나 금형재질의 경면성 선택에 많은 영 향을 받는다.

○ 공구강을 금형용강 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진공열처리가 바람직하며 변형이 적고 표면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다.
저자
Hirosuke T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19(5증간)
잡지명
형기술(N09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7~43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