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분자 과학에서 바이오소재 설계(Supramolecular Challenge to Biomaterials Design)

전문가 제언
□ 바이오 소재 설계는 인공장기나 제제, 조직 재생 등 고도의 첨단 의료를 가능하게 하는 재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높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첨단 기술 연구이다.

□ 오래전부터 사용된 고분자계 바이오 소재는 반응기들이 모두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분자 자체가 갖고 있는 특성의 한계가 있어, 설계에 있어 고분자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고분자 효과에 의해 많은 기능적 혜택을 갖고 있는 반면, 분자 운동성, 공간적 계층성이 없다는 결점으로 고분자 물질로는 새로운 바이오 소재 물질을 설계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 새로운 바이오 소재 합성에 있어 고분자가 갖고 있는 역 효과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 공유결합 화학이라고 불리는 초분자 집합체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을 발현하는 바이오 소재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생체막에 있어 기본 기능인 리셉터-단백질은 유동적으로 위치가 변화하여, 생체와 다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다가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데는, 폴리로탁산(polyrotaxane)이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밝혀졌다. 따라서 리간드를 도입한 폴리로탁산을 합성하는 기술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 이렇게 합성한 폴리로탁산 리간드에 대하여 분자 운동성과 단백질의 리셉터와 다가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반응 기구를 열역학적, 속도론적으로 분자 구조로 규명하여 더 많은 기초 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용에 적용하는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Nobuhiko Yu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55(7)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47~551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