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계를 리드하는 일본의 화학 : 자기조직화에 의해 기능재료를 창조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은 “세계를 리드하는 일본의 화학”이라는 특집에 실린 “자기조직화에 의한 기능재료”라는 제목으로 현대화학 7월호에 실린 Kato씨의 글이다.

□ 20C. 후반에 나노미터 단위의 물성이 특이한 현상이 발견되면서 나노기술이 물리. 화학, 생물, 공학 등 과학의 전반에 걸쳐 과학자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고, 이제는 이 분야 이외의 자연과학은 과학연구의 대상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느낌마저 있다. 나노기술이 과학자에게 매력을 끌게 하는 주된 이유는 원자, 분자의 거대집합체와 나노미터 단위의 집합체가 그 거동에 있어 판이하게 다르다는데 있다. 지금에 개발된 나노기술은 전자통신 분야의 소재개발에서는 획기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따라서 이 분야의 연구는 다른 분야로 확산하여 계속 발전해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

□ 자연에 존재하는 기능재료나 인위적으로 합성한 기능재료는 자기조직화 하는 본성을 가지고 있는 재료라고 말할 수 있다. 원자나 화합물에 각각 특수한 기능이 존재하고 있다고 하는 것은 옛날부터 알고 있었고, 이러한 특성을 분류해서 “Functional Material"이라고 명명한 것은 20C.초반부터로 알고 있다. 현재의 나노기술의 연구는 과학의 각 분야에서 심도 있게 진행되고 있고, 멀지 않는 장래에 또 하나의 획기적인 성과가 나오리라고 기대해본다.

□ 그러나 “자기조직화”라고 하는 과학용어는 분명히 그 한계를 설정해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자기조직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현재 생명체뿐이기 때문이다. 어떤 과학자는 “모든 물질은 살아 있다”고 말한다. 살아 있는 정의가 불분명하다면 이 말도 옳다고 본다. 그러나 이 살아있는 물질을 모아 조립해서 인간의 한없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은 건전한 학문이라고 보기는 힘들 것이다.
저자
KA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00)
잡지명
현대화학(A41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7~31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