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이 섬유를 변화시킨다 (3) : 광촉매 레이온 섬유 [선다이아]

전문가 제언
□ 일반적인 항균, 소취 기능들은 흡수를 통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지속할 경우 화학약품의 소멸이나 포화에 의하여 효과가 감소하지만, 본 제품의 성격은 섬유에 혼합하였기 때문에 탈락의 여지가 없고, 광촉매가 오염원들을 분해하는 작용을 통해 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광촉매제의 망실이 없는 효과가 반영구적인 장점이 있다.

□ 효과 면에서도 다른 제품과는 달리 광촉매를 이용해, 분해를 통하여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균주들의 제거를 확실히 하고, 아울러 깨끗한 처리가 장점으로 부각된다.

□ 셀룰로오스계인 레이온 섬유에 가능하므로 섬유의 양대 축인 합성 섬유에도 적용이 가능하리라고 본다. 특히 폴리에스테르는 최근에 레저(leisure) 스포츠 의류 분야에서 흡수성을 강조하든지, 반대로 윅킹(wicking)성을 강조하는 제품이 많이 출시되나, 레저 스포츠 분야는 땀을 많이 동반하므로 몸에서 생성되는 피지에 의한 냄새가 문제가 되므로 본 기술의 적용이 상당히 요망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는 완제품 전 단계에서 촉감을 내기 위하여, 감량가공을 실시하기 때문에 원사에 혼입된 광촉매제가 자연스럽게 표면에 나오는 것도 가능하다.

□ 광촉매는 워낙 분해 능력이 강하여 원사에 그대로 혼입하는 경우 고분자를 분해하므로 실의 강도가 취하되는 것은 필연이다. 따라서 광촉매를 반응성이 없는 실리카를 이용하여 머스크멜론(muskmelon)형의 그물눈 구조로 만들어 고분자와 직접적인 접촉은 피하도록 하지만, 원사를 제조하는 혼련 과정에서 실리카의 일부가 깨질 것이므로 이와 같은 문제들에는 어떠한 대책이 있는지 좀 더 깊은 검토가 요구된다.
저자
TOKU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39(7)
잡지명
가공기술(B70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18~422
분석자
임*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