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성 자성 nanobead의 구축과 Biotechnology에의 응용(Construction of a High Functional Magnetic Nanobeads and its Application to Biotechnology)

전문가 제언
□ 포스트 게놈시대가 다가오면서 지금까지의 proteome, metabolome에 대한 광범위하면서 종합적인 profiling이 인류의 생명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되고 생물정보학으로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생체의 고분자와 세포사이에 상호인식 및 접착의 역할을 하는 대부분의 세포표면 당단백질에 결합되어 있는 복합당질에 대한 연구가 생명현상의 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 때문에 glycomics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자료를 분리, 동정할 때에 시간과 비용 등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현재 nanotechnology를 접목한 여러 가지 측정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 이러한 바이오분야의 방대한 자료를 측정하기 위하여 반도체와 재료공학의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시작된 nanofabrication기술의 응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NEMS(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 중에서 바이오시료의 특성상 평면상에서 생체물질을 array하는 대신 최근 비드나 입자를 담체로 하는 나노비드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앞으로 나노비드뿐만 아니라 나노입자를 이용한 세포생물학과 생화학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특히 나노입자에 의한 분자 이미징기술, 약물전달체(drug delivery system) 등 나노의학 분야에의 응용연구가 기대된다.

□ nanofabrication기술이 비교적 소홀히 되기 쉬운 식품공업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도록 이 분야에 대한 응용연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미생물에 대한 식품오염의 측정에서 기존의 방법들은 측정하기 전에 미리 시료내의 미생물의 수를 일정한 수준까지 증식을 시켜야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무엇보다 신속한 측정결과를 요구하는 병원균에 대해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나노기술(AFM, 나노비드 등)에 의해 병원균을 전처리 없이 직접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된다면 병원균의 예방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항생제 남용의 방지에 커다란 효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Nobuyuki Gokon ; Kosuke Nishio ; Hiroshi Han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1(8)
잡지명
Bio industry(G286)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1~30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