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입자 Opto-Science의 발달(Recent progress in nanoparticle opto-science)
- 전문가 제언
-
□ 나노 입자의 물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크기가 일정한 시료 제작법이 개발되어 왔다. 단일 나노 입자의 물성도 어느 정도 밝혀졌으나 크기가 일정한 나노 입자를 제작함으로써 자기조직화(自己組織化)한 최밀충전구조결정(最密充塡構造結晶)을 얻을 수 있으며 나노 입자가 집합된 새로운 나노 입자 결정이 요구되며 또한 나노 입자간의 전자적 상호작용에 기초를 둔 삼차원적 나노 입자 결정에 있어서 마크로한 물성연구가 보다 진전되었으면 한다.
□ 나노 입자에 발광중심을 도프한 나노 형광체에 관한 연구로 인해 벌크결정과 비교하여 발광 중심에 첨가한 나노 입자의 발광효율이나 온도 소광(消光)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이 알려짐으로서 이에 대한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 Dope형 반도체 나노 입자 연구의 대부분은 용액법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으나 불순물 이온 등 규명하여야 할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규명연구가 요청된다.
□ 반도체 나노입자 연구에 대부분은 CdS, CdSe 및 CuCl 등의 기초 광물성 연구가 중심으로 되어 왔으나 이들에 대한 독성이나 대기 중에서의 안전성 등에 관한 문제로 인해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실용화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은 광물성 탐색이 선행되길 바란다.
- 저자
- Yoshihiko KANEMI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73(7)
- 잡지명
- 응용물리(A00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917~923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