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 현탁액: 유망한 약품전달 전략(Nanosuspensions: a promising drug delivery strategy)

전문가 제언
□ 급격한 국내 외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저분자 약물, 펩티드, 단백질, 유전자 등을 특정 병소부위에 효과적으로 운반하는 전달체계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으며 나노 기술을 이용한 약물전달 시스템의 개발이 핵심기술로 대두되었다.

□ 나노 약물전달 체계에 대한 국내 특허출원이 최근에 급격히 증가된(2000년대 초 5년간에 걸쳐 346%증가)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 중 내국인 출원비율이 33.9%로 높은 수준으로서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조만간 실용 가능한 신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 약물전달체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항암제, 조혈제 및 골다공증 치료제 등이 주요 개발대상 약물로 알려지고 있다.

□ 나노 의약품의 핵심기술인 나노 약물전달체는 연간 20% 정도의 시장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어 2007년경에는 약 5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의 신약 개발단계에서 의약품의 합성기술은 선진국과 큰 격차를 보이지 않으나, 약물전달 기술은 아직도 선진국과 큰 격차가 있다. 새로운 나노 약물전달 체계에서 외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향후 시장규모에서 오는 수익성 등을 고려하면 실용화에 대한 대폭적인 개발투자가 필요하다.

□ 약물의 수용액에서의 불용성은 제약 산업에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약물의 불용성으로 인한 문제는 너무 낮은 생체 이용률 및 착오적 흡착으로 요약된다. 너무 낮은 생체 이용률은 경구 및 비 경구 투약에서 만족스럽지 않다.

□ 순수한 약물과 최소량의 표면 안정제로 구성된 나노 현탁액은 감소된 독성으로 충분한 양의 투약이 가능하고 최대 허용량 이하에서 지속방출이 가능하다. 나노 현탁액은 수 주 일간 안정한 것으로 인증되었으며 양호한 저장수명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나노 현탁액에서도 경구 투약의 경우 높은 전해질 농도, 산성 pH 환경에서의 안정도는 아직도 부족하여 불원간에 이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저자
Patravale, VB; Date, AA; Kulkarni, R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6(7)
잡지명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27~840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