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현상(Yellow dust)
- 전문가 제언
-
□ 황사현상이란 중국과 몽고의 사막지대, 황하중류의 황토지역에 저기압이 통과할 때 다량의 누런 먼지가 한랭전선 후면에서 부는 강한 바람이나 지형에 의해 만들어진 난류로 상층으로 불려 올라가 공중에 부유하거나, 장거리 수송 도중 지표에 낙하하는 먼지 현상이다.
□ 이 황사현상으로 인해 중국의 인근에 있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건강 및 심지어 청정공기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전자 산업에 까지 지장을 주고 있다.
□ 이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이 먼지는 빙하시대부터 유래되는 것으로 자연현상으로 여기고 인내하는 관습으로 지속되어 왔으나, 이 연구내용에서 밝혀졌듯이, 먼지 바람이 중국을 통과하는 동안에 먼지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종류와 량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즉 공업화되고 있는 중국에서 대기오염방지시설의 가동도 없이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한 피해를 인근의 한국국민과 일본인이 입게 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 이에 한국, 중국, 일본 등 3국은 동일한 환경영향권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제의로 1999년 1월 제1차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담(TEMM)이 서울에서 개최되고 이후 연례적으로 3국을 순회하면서 개최되고 있음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그간 황사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던 중국과 일본의 참여를 끌어들여 3국간 황사 모니터링네트워크 구축, 황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연구, 교육 등에 협력, 그리고 UNEP 등 국제기구의 황사사업 참여 요청 등에 합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이 3국환경장관회의에 대해 적극적으로 바라는 점은 황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연구,교육 뿐만 아니라 내정 간섭의 오래를 받을 소지 있기는 하지만, 자동차와 항공기의 옥탄가를 올리기 위한 4에틸연 가솔린 첨가제의 사용금지 등 구체적인 사항이 토의 내지는 권고되고 또 모니터링되어야 하겠다.
- 저자
- Kar, A; Takeuchi, K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59(1)
- 잡지명
-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67~187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