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iCoO2의 형성, 구조, 리튬과 산소의 비화학량론, 전기화학적 거동 그리고 물질이동 특성 (LiCoO2: formation, structure, lithium and oxygen nonstoichiometry,

전문가 제언
□ 다른 출발물질과 다른 합성방법 의하여 LiCoO2를 제조하는 여러 가지 방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추론을 얻을 수 있다:

○ 반응 기구는 합성방법에 의존한다.
○ 거의 모든 합성방법은 입경 < 1㎛을 가진 LiCoO2의 형성을 유도 한다.
○ Li 용융염의 존재는 입자를 굵게 한다.
○ 최대 방전 비용량은 LiCoO2의 입경에 무관하다.
○ Li 전지의 리사이클링 중에 용량 감퇴율 (fade rate)은 LiCoO2의 입경이 크면 클수록 증가한다.

□ 비화학량론, 양이온 혼합 그리고 산소 적층 등의 구조적 무질서를 가진 LiCoO2을 합성하는데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LiCoO2 물질 구조는 Li 전지에서 충전-방전 공정 과정에서 Li 이온의 삽입-탈삽입 (intercalation/deintercalation)에 더욱 안정해야만 더 좋은 전기화학적 거동을 제공하고 구조적 뒤틀림을 방지한다.

□ 가역 용량의 개선은 전기적 전도도의 증가로 용융 탄산 연료전지에 유망한 재료로 이용하게 할 뿐만 아니라 리튬 과화학량론적 LixCoO2 (x>1)을 Li 전지에도 유망한 재료로 이용하게 한다.

□ 삼성과 LG 화학에서는 LiCoO2 양극활 물질을 수입하여 Li 이온 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아직은 국산 LiCoO2의 양극활 물질로서 성능이 불충분하여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저자
Antolini, E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170(3-4)
잡지명
Solid State Io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59~171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