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및 항체유도 T세포 종양 면역치료법(Vaccine and antibody-directed T cell tumour immunotherapy)
- 전문가 제언
-
□ T세포 종양면역 치료법으로 백신과 항체를 이용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종양관련항원(TAA; tumour-associated antigen)의 규명은 암치료에 대한 항체를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고품질의 백신을 유도하여 왔으며 활성면역의 활용은 내성이 불완전한 TAA에 적용함으로써 항암효과를 이룰 수 있으나 비활성면역은 내성 또는 면역억제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면역요법으로 부가적인 활용을 겸용함으로써 항암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 암종양에 대한 면역요법을 위해 몇 가지 서로 다른 백신과 항체를 활용하여 면역요법을 향상시키는 문제와 T세포와 항체로 매개되는 항종양반응이 우수한 백신을 목표로 하여 상당한 연구가 전진되어 임상에도 이용되고 있으나 NK(Natural Killer)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좀더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항암면역요법이 강구되었으면 한다.
□ 자궁경관암은 여성의 암종양 관련 사망에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며, 병인학적으로 HPV(Human papilloma virus)는 사실상 모든 자궁경관암에서 발견된다. HPV감염의 지속성이 자궁경관암 유발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결과로 미루어 악성전이(惡性轉移)관련 HPV유형에서 E6와 E7는 우세한 전이단백질이므로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종양억제 유전자인 p53과 Rb를 생성시키는 점을 활용하여 자궁경관암 치료를 위한 백신개발을 목표로, 특히 E7 지질펩티드와 이에 대한 면역학적 기전연구와 면역단독요법보다는 항암치료 효과가 인정된 병용요법(倂用療法)에 대한 대책 연구가 절실한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Dermine, S; Gilham, DE; Shaw, DM; Davidson, EJ; Meziane, EK; Armstrong, A; Hawkins, RE; Stern, P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704(1)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35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