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분석의 최근 발전 동향(Recent advances in enzyme assays)
- 전문가 제언
-
□ 효소분석은 생화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절차이다. 이는 세포나 조직에 존재하는 효소의 양을 추정하는데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효소를 정제하는데 혹은 한 시스템의 운동계수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효소에 의해 촉매된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은 화학적 변화의 성격에 따라 제한을 받으며 연구자의 창의력에 따른다.
□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들은 기본적으로 모든 세포기능을 조절내지는 통제하는데 불가결한 존재들이다. 따라서 신약개발이나 기초연구에 단백질 키나아제나 인산가수분해효소 등의 신호전달 효소들이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다. 최근 이들 효소들 기작의 해석이 발전되고 강력한 고효율처리 검정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좀더 특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검정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 효소분석은 효소들을 탐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된 기질에 의하여 효소타입을 표시함으로 현재 이러한 여러 분석을 수집하여 효소의 완전한 반응성 프로필을 만드는 경향이 있다. 색채기질로 다수효소를 profiling 하는 기술은 1960년대 미생물을 확인하는 도구로 발전되었으며 요사이는 병원에서 감염질병을 진단하는 기초가 되고 있다.
□ 1990년대에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기질 특정성이 형광 펩티드의 조합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다수 형광기질에 의한 분석을 microtitre-plate 양식으로 신속이 실행함으로써 여러 다른 가수분해효소들의 일반적인 활성 프로필을 작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쉽게 기록되고 재현될 수 있어 이들 효소들의 ‘지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여러 lipases나 esterases의 신속한 기능분류의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 저자
- Goddard, JP; Reymond, J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2(7)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63~370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