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ENSO에 관한 확장된 바람응력 분석(Extended wind stress analyses for ENSO)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의 서론에서 <이 논문은 적도태평양 기후학적 배경위에서 ENSO에 관련된 FSU1/NCEP1의 유사성과 차이, 변칙 스펙트럼과 SST 변화에 대한 반응, 반년마다의 "noise", 그리고 고착화된 계절양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 특성의 지난 40년간의 변화를 보여주겠다.>고 전제하였다.

□ 이 논문은 지난 40년간(1961~99년)의 ENSO 연구를 위한 방대한 관측데이터와 연구 자료들을 수집해서 정리 및 분석하였고, 특별히 ENSO에 대한 관련모습에 초점을 두고 NCEP1과 FSU1 응력이 다양하게 비교 연구 되었다. 저자 Andrew T. Wittenberg는 기후학적 연구 데이터와 변칙모형, 그리고 변이 시간계열 등의 엄청난 분석 자료들을 다양한 Graphic diagram을 통하여 명료하게 제시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 분석자는 이 논문의 연구 결과에 대한 결정적인 미흡과 근본적인 후속 연구보완의 필요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 첫째, 적도태평양 기후학적 배경 위에서 ENSO에 관련된 FSU1/NCEP1의 유사성과 차이를 비롯한 변칙스펙트럼, SST 변화에 대한 반응 등의 대부분 연구결과들은 그 근본요인(根本要因)들을 밝히지 못하고 단순 현상과 결과에 의한 기술에만 그쳤다는 점이 결정적 미흡함으로 평가된다.

○ 둘째, 6. 결론, 둘째 항목의 과 일곱째 항목의 ENSO 더위 이변에 대한 바람응력 반응의 결과들은 거의 다 지구자전에 의한 Coriolis force 효과에 의하여, 그 근본요인이 해석 될 수 있겠다.

○ 셋째, 지표 해수와 대기의 운동에 영향 주는 요인은 온도구배, 밀도차 , 염분 농도, 지구자전 등과 상층대기 상태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벡터장의 3차원공간에서 수행함이 필수적이다.

○ 넷째, FSU1과 NCEP1의 비교연구로 상대적 특성을 밝힐 뿐만 아니라, 대기상태 분석 등 보다 객관적 연구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저자
Wittenberg, AT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4
권(호)
17(13)
잡지명
JOURNAL OF CLIMATE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2526~2540
분석자
김*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