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통중국의학 특허 데이터베이스(Chin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Patent Database)

전문가 제언
□ 요즈음 새로운 화학에 의한 의약개발은 수억 달러까지 되는 엄청난 투자가 필요하고, 또한 자주 발생되는 부작용 때문에 이러한 약에 대한 반감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보다 싸고 효과적인 전통적인 자연의약이나 생약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양약만을 고집해오던 미국에서도 침술을 정식으로 인정하고, 이런 동양의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 전통적으로 한방치료 및 침술 등을 선호해온 국내에서의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더 높아지고 있는 사실이다. 띠라서 한의사의 위상도 높아지고 한의학과가 많은 종합대학에 신설되었고,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가장 선호하는 학과로 자리 잡고 있다.

□ 또한 모든 세계 선진국들이 각가지의 지적재산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무기화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상황을 동양의학과 연계해서 생각하면, 동양의학의 지적재산화 움직임은 당연한 정책이라 생각된다.

□ 중국정부가 이러한 움직임에 일찌감치 앞서가며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중국이 동양의학의 종주국임을 부각시키고, 선취점을 장악하기위한 이런 움직임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라 생각된다.

□ 그러면 과연 우리는 동양의학의 이러한 세계적 변화와 미래에 얼마나 준비하고 있나? 우리 고유의 동양의학의 체계가 제대로 정립되어 있나? 등록된 동양의학 관련 국내 특허는 몇 건이나 되나? 해외출원은 몇 건이나 되는지 등이 궁금하다. 모르긴 해도 아마 아주 미약하다고 생각된다.

□ 우리도 이제 이러한 우리 동양의학의 체계를 정립하고, 국내외 특허출원 등을 통한 지적재산화 등을 국가정책으로 하여, 정부, 학교, 학회, 제약회사들이 하나가 되어 하루 빨리 추진해 나가야한다고 생각된다. 본 기사에 소개된 중국의 TCM 특허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한국 TCM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시작이 뒤늦은 만큼 더 빨리...
저자
Yanhuai Liu and Yanling Sun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26(1)
잡지명
World Patent Inform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91~96
분석자
김*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