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과 케모카인 네트워크(Cancer and the chemokine network)

전문가 제언
□ 암은 근본적으로 정상세포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병이며 세포의 구성성분이나 그 기능의 다양성에 비추어 암의 발생은 바이러스 인자로 인한 발생이 60%, 유전인자로 인한 발생이 20%, 자극성 약물이나 발암성 물질로 인한 것이 20%로 알려져 있다. 암 발생설이 어찌되었건 암의 일반적인 성질은 크게 4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며 클론(clone)성, 자율성, 역형성 및 전이성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이 “전이성”이라고 할 수 있다.

□ 케모카인은 활성화된 백혈구나 임파구 등에서 분비되는 주화인자로서 Superfamily를 이루고 있다. 불활성의 전구체단백으로서 만들어지며 세포내 protease에 의해 한정 분해되어 분자량 7kDa 전후의 활성형으로 분비된다. 특징적인 S-S 결합을 가지며 1번과 2번의 cystein의 위치관계로부터 c-x-c Subfamily와 c-c Subfamily로 대별된다. c-x-c형 케모카인은 주로 호중구의 주화성을 항진하나 c-c형은 주로 임파구나 단구의 주화성을 항진시킨다.

□ 최근 Von Hippel-Lindau 종양 억제 단백질(pVHL)에 의해 VHL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연관되어 있고 CXCR4 케모카인 수용체 발현이 억제되며, 이러한 현상이 암세포가 특정 조직에 전이되는 현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편, 난소암 환자들을 연구하던 과정에서 암이 말기로 진행함에 따라 조절 T세포가 종양과 복수(Ascite)가 존재하는 곳으로 이동해 축적되는데 난소암 세포와 이 종양세포를 인식한 대식세포는 CCL22라는 케모카인을 분비하며 조절 T세포를 종양으로 인도하는 매개자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절 T세포의 기능을 차단하거나 아니면 이동 과정을 막는 것만으로도 난소암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CXCR4나 CCR5를 억제하는 항 HIV제를 개발하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CXCR4 억제제 AMD070'이 2상 임상에 진입했으며 CCR5 억제제도 개발 중이다. 반면 화이자의 CCR5 억제제 UK-427,857은 연내로 3상 임상이 시작된다. 암 발생설과 그 성질의 다양성에 비추어 우수한 항암제 개발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나 케모카인 네트워크의 정확한 구명은 특정 암의 특이적 억제제 구명의 지름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Balkwill, F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7)
잡지명
NATURE REVIEWS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40~550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