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서의 탄소배출(Carbon emission from farm operations)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논농사의 경우에는 경지정리의 꾸준한 진행으로 기계 영농화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밭작물재배의 경우에는 기계화영농은 아직 요원한 수준이라 할 수 있으며 일부 수익성이 좋은 특용작물의 재배를 위한 그린하우스재배는 도시주변을 중심으로 상당히 확대되고 있으나 기계영농단계라고는 할 수 없고 외국에 비해 규모가 매우 작은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따라서 경지면적이 넓고 기계화영농이 주류인 서구나 미국과 같은 차원의 농업부분에서의 에너지소비에 유래하는 탄소배출은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없으나 화학비료나 농약사용은 오히려 서구나 미국보다 단위면적당 사용량이 높은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탄소배출감소를 위한 효율성제고에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지구온난화현상은 더 이상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고 범지구적인 문제임에 틀림없는 상황이므로 우리나라도 CO2배출감축을 위한 교토의정서에서 의무화 된 국제간의 약속을 성실하게 지키기 위해서 각 부문에서의 탄소배출에 대한 조사와 감축대책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감축활동을 해야 할 것이며 여기서 지적하고 있는 농업분야에서의 조사와 감축을 위한 방법도 예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비록 우리와 상황이 사뭇 다른 미국에서의 농업분야가 주는 탄소배출에 대한 상세한 원인과 이를 감축하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하여 매우 적절히 정리를 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정리된 몇 가지는 우리나라의 농업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 분야에 책임을 갖고 있는 기관이나 대학과 연구기관의 자료로 활용하거나 우리 실정에 맞추어 검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 저자
- Lal, 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0(7)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81~990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