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동 생태학 연구와 대형 기후지표의 이용(Using large-scale climate indices in climate change ecology studies)
- 전문가 제언
-
□ 지구는 전체적이고 포괄적으로는 소위 지구온난화 현상의 계속적인 진행으로 도처에서 기온상승과 같은 이상기후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어떤 특정시기에는 El Nino현상 등에 의해 지구상의 일부 한정된 지역에서 극단적인 이상기후의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과거의 기상관측자료에서 알 수 있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현상들이 상당부분 El Nino, NAO 및 NP라고 하는 세 종류의 대형 기후지표의 변동과 어느 정도 밀접하게 상호관계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 북태평양지역에 위치하는 우리나라나 일본 등에서도 이러한 대기순환 및 해수면 온도를 꾸준히 측정함으로써 지표변동으로 인한 기상상황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러한 예측능력으로 국가적인 재해발생에 대한 위기관리능력을 한 단계 Up grade 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제간(NOAA 등)의 측정활동에 대한 공조는 필수적이다. 이 분야의 활동에 최소한 국가적인 예산지원뿐 아니라 인력양성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 환경문제가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매우 직접적이다. 이로 인한 생태계의 건전한 보존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개발도상국에까지 점차 인식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또한 각국 정상간의 국제적인 모임에서도 정식의제로 채택되기도 하여 많이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와 연관된 생태환경의 영향은 인류의 노력에도 분명히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도전이 앞으로 인류의 커다란 숙제라고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세 가지의 대형 기후지표의 변동이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과 이러한 현상이 각 지역의 자연생태계에 대표적으로 어떤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관련연구기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국제적인 광범위한 측정활동에 공동보조를 취할 수 있는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Forchhammer, MC; Post, 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6(1)
- 잡지명
- POPULATION E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2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