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최근의 센서 시스템(Sensor systems for use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전문가 제언
-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콘크리트 중 철근 부식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화학적 방법에 관한 총설형 기술 보고서로서, 철근 콘크리트에 있어서 철근의 매립된 위치에 따른 철근의 부식속도와 그리고 콘크리트의 전기 저항성, 산소 이동성, 중성화 및 염화물 침입에 관한 정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계측시스템과 센서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고 있다.
□ 여기서 제시된 콘크리트의 상시계측 시스템은 피복두께 부위 콘크리트의 성능 변화와 보강 철근의 상태에 관한 비교적 상세한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철근 부통태막의 손실율 및 부식속도와 그리고 콘크리트의 전기 저항성, 산소 이동율, 염화물 임계치, 탄산화 깊이 등이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특성이며, 또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것이다.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LCC(전 생애 비용)와 잔여 사용수명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요소는 콘크리트 피복두께 부위의 성질과 부식 촉발을 위한 염화물 등의 임계치와 그리고 일단 촉발이 된 다음에는 철근의 부식 속도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표면에 근접한 피복두께 부위의 제반 특성은 가용성 염류를 포함하고 있는 가스나 용액의 침투를 진척시키기 때문에 이 특성들을 면밀히 측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들 특성들에 대한 계절성 변화를 현장에서 상시 계측하는 일은 그 구조물의 사용 중 성능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내용수명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보다 실제적인 예측수단이 된다. 즉, 특정 노출조건에 대한 열화속도나 또는 목표로 한 설계수명과의 부합 정도를 대비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실제 수명에 근접한 예측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이 분야의 연구 활동은 한국콘크리트학회 내에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 및 수명평가 연구소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매년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토의함으로써 학술발전과 실무지식의 현장 보급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국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평가의 기술발전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저자
- McCarter, WJ; Vennesland, 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18(6)
- 잡지명
-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51~358
- 분석자
- 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