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효모 유전체 서열분석(Yeast genome sequencing: the power of comparative genomics)

전문가 제언
□ 생물체의 최초의 발생에 대해서는 창조론과 자연발생론으로 논쟁의 여지가 많으나 생명이 생겨난 후에 이들 생물체는 이종간의 교배를 통하여 진화해 온 것이 확실하며, 오늘날 유전자의 발견과 환경에 적응하는 이들의 변이에 의하여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분자시계는 현재의 진화생물학에서 가장 유용한 개념이 되고 있으며 가까운 이종간의 비교유전체학으로부터 유전자의 진화과정을 확실히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종 세포간의 비교유전체학의 연구는 과거의 진화과정을 탐구함으로서 미래의 유전자의 진화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 오늘날 DNA chip과 나노tech(lab on a chip등)의 발달로 유전체의 서열분석을 기술적으로 해명하는 것은 매우 쉬운 일로 되고 있다. 그러나 염기서열만으로는 이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밝히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한 최초의 진핵세포 유전체의 해독이 효모에서 이루어졌다. 16개의 염색체에 6000여개의 유전자가 배열되어 있는 효모는 인간의 유전자와 공통된 부분이 많기 때문에 효모가 만드는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지면 인간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확실히 알 수 있게 되었다. 즉 효모의 유전자를 손상시켜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비교해 봄으로써 사람에게 직접 행하지 못하는 실험을 효모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 Post genome시대에 이르러 실로 방대해지는 유전체의 정보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생물학 정보들을 저장하고 이를 분석 및 해석하기 위해서 bioinformatics가 새로운 분야로 떠오르고 있고 여기에 나노tech의 발달로 BINT라는 새로운 용어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방대한 분야를 몇몇 선진국만이 독식할 수 있는 시대는 이미 지났으므로 우리나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 집중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특히 BINT를 활용하여 경험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한방의약에 대한 약제(인삼, 녹용 등)나 침술 등 동양인이 많이 관심 갖는 분야에 대해 인체에 관련된 효능과 그 기작을 추적해 가는 분야 등에 관심을 갖고 집중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Piskur, J; Langkjaer, RB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53(2)
잡지명
MOLECULAR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81~389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