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의학에서 키토산의 응용가능성(Potential applications of chitosan in veterinary medicine)

전문가 제언
□ 키토산은 키틴을 부분적으로 탈 아세틸화 시킨 폴리머로 키틴은 새우, 게 같은 갑각류와 곤충 등에서 복합체로 생체의 골격이나 외피를 생성하는 다당류의 고분자물질이다. 키토산은 자연계에서 대표적인 섬유소 다음으로 풍부한 양이온성 생물자원이다. 키틴은 분자량 대단히 높은 탄수화물 유도체로서 불용성이어서 활용도가 낮은데 반해, 키토산은 유리아민 기를 가지고 있어 약한 산성수용액에 용해되기 때문에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 키토산과 키틴을 생체 고분자 재료로 사용하려는 연구는 많은 진전을 보고 있으며 비만 치료, 항균작용, 항산화효과, 항암작용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쥐에게 키토산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지질의 흡수를 방해하고, 담즙 배설이 증가하여 항비만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다.

□ 이외에도 키토산은 물리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성질이 다양하여 오폐수처리, 식품가공, 방직, 화장품등에 적용 가능성을 보고하고 있다. 특히 독성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으며 생체적합성이 좋고 생체분해성을 갖고 있어 생체재료로 호평을 받고 있으며 약물의 전달에 활용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수의학 분야에서 키토산이 상처 치료용으로, 골 재생, 진통제, 그리고 항생제의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다. 아직 이 분야에서 키토산을 약물전달에 이용하지는 않고 있지만 가축이나 애완동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활용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점차 키토산의 유도체들이 키틴이나 키토산이 갖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여 생리적 특성을 가지면서 의학 및 식품에도 첨가할 수 있는 원료로 개발하고 있다. 키토산이 광범위한 고기능성 생리활성물질로 밝혀짐으로써 의약업계와 식품, 화장품업계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수의학에서 연구대상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보며 국내에서 다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저자
Senel, S; McClure, S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6(10)
잡지명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67~1480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