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직공학: 현황과 전망(Tissue engineering: current state and perspectives)

전문가 제언
□ 조직공학은 재생의학의 전단계로 생체적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손상된 조직과 기관에서 적절한 재료와 공학의 기술을 이용 세포를 다시 살려내거나 건강한 세포로 대체하는 재생의학과 연관된다. 인공장기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에 시작되어 초기의 인공장기를 보면, 부러진 뼈를 지지하기 위해 금속판을 재료로 보철을 사용하였고, 20세기 중반에는 나일론 같은 합성소재로 만든 인공혈관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이 신체 내부의 조직과 잘 융화하지 못하거나 면역계의 거부반응 등에 문제를 야기했다. 따라서 계속된 연구로 고분자, 세라믹, 금속재료 기술이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며 1980년대 이후 세포의 배양기술의 발달과 최근의 줄기세포의 활용기술은 조직공학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 조직공학은 생물학, 재료공학, 공정기술, 임상연구가 포함된 여러 학문분야로 전개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최근 재료와 배양기의 설계 그리고 원천세포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조직을 만들 수 있는 단계에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기관을 재생시키기 보다는 새로운 세포가 증식되고 분화하여 새로운 환경에 통합되어 새로운 조직으로 발달시키는 것을 먼저 생각할 수 있다. 줄기세포와 전구세포는 조직공학의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생각한다.

□ 각 나라마다 조직공학에 대한 연구를 경쟁적으로 시도하고 있으며 미국에는 조직공학을 주요 기술로 연구하는 벤처회사가 90년대 후반에 시작되면서 조직공학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여 다양한 관련 제품들도 나오고 있다. ETEX회사의 뼈 대체 물질인 alpha-BSM, Advanced Tissue Sciences와 Integra LifeScience 그리고 Organogenesis 같은 회사가 화상을 입은 환자를 위한 인공피부를 개발한 바 있다.

□ 그러나 이렇게 앞서가는 회사들이 시장에 실패하면서 2002년에 미국 법정에 파산신청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조직공학 관련 회사가 있으며 줄기세포연구를 제창하고 있는데 왜 이렇게 첨단기술을 가진 회사가 파산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저자
Lavik, E; Langer,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65(1)
잡지명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