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콩과 식물을 위한 유전자기술 (Gene technology for grain legumes: can it contribute to the food)

전문가 제언
□ 개발도상국에 있어 콩과식물들은 주요 단백질원이며 농업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작물의 생산과 품질이 당면하고 있는 여러 한계점들이 통상적인 교배기술이라든가 향상된 관리시스템으로 많이 제거되고 있으나 기존의 유전자원들은 우리에게 필요한 영양소적 특징이 부족할 수 있다. 이때에 유전자 형질전환으로 기존 곡물들의 단백질성분을 보충하여 이러한 제약점들을 해결하여 개발도상국의 식량안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전자 개선을 통한 잠재적 혜택이 실현되지 못하는 이유는 아직도 효율적이고 재현성 있는 유전자 전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씨앗 단백질의 영양적 품질은 아미노산 성분에 달렸다. 특히 동물이 생산하지 못하는 필요 아미노산들의 성분이 중요하다. 쌍떡잎식물은 동물이 필요로 하는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 즉 메티오닌과 시스틴을 충분히 갖지 않고 있으므로 반추동물과 사람에게 단백질원이 되는 lupin과 완두콩류에 시스틴과 메티오닌이 풍부한 단백질을 코드화하는 해바라기 유전자를 첨가하여 형질전환 시켰다. 결과적으로 메티오닌 성분이 이 두 콩 과류에서 두 배로 증가하였고 lupin의 경우 단백질 성분변화가 양들의 체중증가와 털 성장 증가로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 호주의 Government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GRDC)은 Center for Legumes in Mediterranean Agriculture (CLIMA)와 캐나다의 Saskatchewan대학의 공동참여로 콩과류(field peas 및 완두콩류)에 단배체(haploid)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을 두 배로 향상시켰다는 보고도 있다.

□ 최근 EU에서는 좀더 많은 단백질원을 보유하기 위하여 진균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소유전자, polygalacturonase 저해 단백질 유전자, osmotin과 endo-chitinase 유전자의 복합체 등을 콩과류, 즉, lupin이나 완두콩에 도입 형질전환시켜 이 전환 유전자들의 발현효과를 보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저자
Popelka, JC; Terryn, N; Higgins, TJV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67(2)
잡지명
PLA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5~206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