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소양 - 의문점, 개념과 정황의 문헌적 개관(Information literacy - what it is about? Literature review of the concept and the context)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의료정보를 위한 건강, 간호 및 의료정보 분야에서 개념적 정보소양에 초점을 둔 문헌들을 개관한 것이다. 그 목표는 어떻게 정보소양이 정의되고 어떤 내용이 제시되고 있으며 관심의 초점은 누구인가를 발견하는 데 있다.
□ 개관을 위하여 Medline에 온라인을 이용하고 EndNote 서지목록 소프트웨어가 이용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97개의 문헌이 탐색, 분석되고 있다. 분석 결과, 개념적 정보소양은 이들 문헌에는 존재하지 않고 컴퓨터소양 또는 정보 인지와 동의어로 발견된다.
□ 건강관리 분야의 정보소양은 IMIA WG1의 권고안에 따라 건강관리 전문가를 위한 정보 교육에 기초로 활용된다. 따라서 컴퓨터 관련 지식과 기능의 차원을 넘어서 의료 및 간호, 건강관리의 정보를 다루는 차원에서의 정보소양 교육이 이 분야의 교육과정에 반영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 문헌정보 시스템에서 문헌 검색은 자료의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문헌 검색은 의료정보 시스템인 Medline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소양이라는 한정된 항목에 한하여 실시되고 있으나 일반 문헌에서의 검색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 특히 새로운 개념에 대한 검색 방법은 항목의 개발과 전문 및 요약 데이터베이스 구축, 문헌 검색 엔진의 개발과 더불어 문헌정보 시스템 분야에 필수적인 연구 대상이다.
- 저자
- Saranto, K; Hovenga, EJ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73(6)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03~513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