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 이온빔을 이용한 물질의 변형(Materials modification using intense ion beams)
- 전문가 제언
-
□ 물질의 표면처리 기술은 수없이 많은 방법이 개발되어 각각의 장점을 활용하고 있으며, 대별하면 물리적 방법(예, PVD)과 화학적 방법(예, CVD)과 열처리 방법이 있으나 소개된 강력 이온빔 투사 방법은, 초기투자비용의 경제성만 확인된다면 공정의 신속, 정확, 계통 제어의 용이성이 최대 장점이다.
□ 기술의 우위성 설명 못지않게 한쪽으로 편향된 의견제시보다, 미국, 러시아, 일본 등의 발전상을 소개한 점이 비교우위 평가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보며, 특히 러시아 측의 양자/양성자(proton) 발생과 응용 소개는 연구 대상으로 충분하다..
□ IT, BT, NT, ET 등의 지원과 도움으로 경박단소화 제품이 시장우위성의 기준으로 정착되는 시점에 환경친화성을 외면하고는 시장을 장악할 수 없는 이때, 본고에서 최초라고 소개하는 수소저장시설에 티탄 철(TiFe) 박막기술을 적용해 봄은 수소연료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에서 검토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 우리나라 현실은 기업체 내지 그 부설 연구소는 외제구입으로 한정 용도의 중소규모의 증착, 이식 등을 하고 있고, 연구소나 대학엔 국제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설비나 운영이 없는 지금, 전기연구소, 원자력관련연구기관, 대학과 산업체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 저자
- Renk, TJ; Provencio, PP; Prasad, SV; Shlapakovski, AS; Petrov, AV; Yatsui, K; Jiang, WH; Suematsu, 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92(7)
- 잡지명
- PROCEEDINGS OF THE IEE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057~1081
- 분석자
- 김*화
- 분석물
-